새로운 소식!

디지털오픈랩의 새로운 소식을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.
더보기
공통 [2023년 통합공고] 디지털오픈랩 지원사업 통합공고

     2023년 열린혁신 디지털오픈랩 지원사업 통합공고       「열린혁신 디지털오픈랩 구축사업」은 디지털 혁신기술(5G·AI 등) 기반의 디지털융합을 통해 디지털 혁신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개발 전주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ICT 융합혁신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지원사업을 통합공고 합니다.2023년 5월 2일   열린혁신디지털오픈랩 사업운영기관(재)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· (재)대구테크노파크원장 ·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장 · 스마트기술진흥협회장    Ⅰ   지원사업 개요  ○ 목 적 - 중소·스타트업이 디지털 혁신기술(5G, AI 등) 기반의 디지털융합을 통해 디지털 혁신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전주기 개발지원 ○ 대 상 - ICT 분야 관련 중소·스타트업 및 예비창업자 ○ 모집규모 : 총 80개사 내외 ○ 개발 단계별 지원사업 안내 구분사업명모집시기지원기관아이디어공모전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2023.05.15. ~ 06.26.스마트기술
진흥협회민간분야제작지원디지털 혁신기술 지원연계형 디지털 혁신 고도화 지원2023.05.02. ~ 05.22.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제품화ICT 혁신 디바이스 서비스 바우처(제작전문기업)2023.05.02. ~ 05.22(수혜기업)2023년 6월 초 예정실증ICT 혁신 디바이스 서비스 실증 테스트베드 지원2023. 06.01. ~ 06.21.공공분야 개발/실증지원개발 및 실증공공융합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2023.05.08. ~ 05.28.대구테크노
파크실증인증지원ICT검·인증·실증혁신디바이스 ICT인증 연계지원    2023.06.12. ~ 07.07.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※ 모집시기는 내부사정에 따라 부득이하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.  Ⅱ   지원사업 세부내용      1)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○ (추진방법) AI, 5G 시대의 혁신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(AI, 5G)과 관련된 우수아이디어 발굴, 혁신제품 상용화 지원을 위한「2023년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」개최 ○ (지원규모)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등 14점, 총 상금 5,000만원 ○ (지원범위) 현재 상용화되지 않은 디지털(AI, 5G)과 관련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예비창업자(팀) 및 중소·스타트업 기업 - (일반부문) 공고마감일 기준 사업자 등록이 되어있지 않은 예비창업자(학생, 일반인 모두 해당) - (기업부문) 중소·벤처·스타트업 등 소규모 기업 ○ (모집기간) 2023.5.15.(월) ~ 2023.6.26.(월) 24:00 ○ (운영기관) 스마트기술진흥협회(운영사무국) ○ (접수방법) 공모전 접수페이지(www.digitalopenlab.or.kr) ○ (문의처)  구분연락처이메일스마트기술진흥협회02-6248-3502~3503kidia@kidia.or.kr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031-710-8706minyounglee@gbsa.or.kr  ※ 관련 세부사항은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     2) 연계형 디지털 혁신 고도화 지원 ○ (추진방법) 기 개발된 디바이스에 디지털 혁신기술(Data, 5G, AI) 도입을 통한 제품 및 서비스 고도화 비용 지원 ○ (지원규모) 총 5건, 건별 최대 8,000만원 이내 ○ (지원대상) 타부처 및 지자체로부터 지원받은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디지털 혁신기술 도입으로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고도화하고자 하는 중소·스타트업 ○ (지원범위) - 디지털 혁신기술(Data, 5G, AI) 기반 제품 및 서비스 고도화 비용지원 - 디지털 오픈랩 인프라 활용 및 사업 연계 기회 제공 ○ (모집기간) 2023.05.02.(화) ~ 05.22.(월) 24:00 ○ (운영기관) (재)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○ (문의처) 031-710-8713, thfk3230@gbsa.or.kr ※ 관련 세부사항은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 3) ICT 혁신 디바이스 서비스 바우처 지원 ○ (추진방법) 전문기업과 수혜기업 선정을 통한 제품화 분야별 바우처 지원 ○ (지원규모) 총 30건, 건별 최대 7,000천원 지원 ○ (지원범위) 디자인, PCB, 외형, SW지원 - (디자인) 디자인 기획(컨셉, 시각화, 스케치), 모델링(3D 모델링 & 렌더링), 디자인 시방서 등 제품디자인 개발지원 - (PCB 설계) 회로설계 및 제품, 회로 구조 최적화를 통한 PCB 제작 및 조립 등 지원 - (외형제작) 산업용 3D프린터, CNC 가공 등을 통한 외형제작 등 - (SW지원) 디바이스에 SW 도입을 위한 데이터 획득 및 가공 등 지원 ○ (모집대상) - (제작전문기업) 수혜기업에게 디자인·PCB·외형제작·SW지원이 가능한 분야별 (중소)제작전문기업 - (수혜기업) ICT 디바이스 시제품 제작지원이 필요한 중소·스타트업 ○ (모집기간) - (제작전문기업) 2023.05.02.(화) ~ 05.22.(월) 24:00 - (수혜기업) 2023년 6월 초 예정 ○ (운영기관) (재)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○ (문의처) 031-710-8704, jhg@gbsa.or.kr ※ 관련 세부사항은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     4) ICT 혁신 디바이스 서비스 실증 테스트베드 지원 ○ (추진방법) 기 개발된 디바이스에 디지털 혁신기술(Data, 5G, AI 등) 도입을 통한 제품 및 서비스 고도화 실증 비용 및 플랫폼 지원 ○ (지원규모) - (자금 지원형) 총 3건, 건별 최대 1,000만원 이내 - (자금 미지원형) 총 4건 이내 ○ (지원범위) 디지털 혁신 기술이 적용된 혁신 디바이스 실증 - (오프라인) 디지털오픈랩 내 협의된 공간에 실증 디바이스 설치 및 운영 - (온라인) MEC·AI 플랫폼 활용을 희망하는 기업에 한하여 컨설팅 및 플랫폼 서비스 활용 지원 ○ (모집기간) 2023.06.01.(목) ~ 2023.06.21.(수) 24:00 ○ (운영기관) (재)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○ (문의처) 031-710-8703, hatoma98@gbsa.or.kr ※ 관련 세부사항은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 5) 공공 융합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지원 ○ (추진방법) 범부처·지자체·공공기관 등과 연계하여 디지털 혁신기술로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 혁신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 가능한 컨소시엄 선정을 통한 개발 및 실증 비용지원 ○ (지원규모) 7개 컨소시엄, 컨소시엄별 최대 120백만원 지원 구분선발 규모지원금 규모비고개발 및 실증3개 컨소시엄최대 120백만원 지원주관기업-수요기관 컨소시엄 구성 필수실증4개 컨소시엄최대 30백만원 지원 * 선발 규모, 지원금 규모는 변동될 수 있음 ○ (지원범위) 디지털 혁신 기술이 적용된 혁신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 - 혁신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, 재료구매, 시작품/시제품 제작비, 실증 환경 구축 및 운영비, 인건비(일부) 등 - 범용성 디바이스(태블릿, 스마트폰 등) 적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지원 불가능 ○ (모집기간) 2023.05.08.(월) ~ 05.28.(일) 24:00 ○ (운영기관) (재)대구테크노파크 ○ (문의처)  구분연락처이메일대구테크노파크053-602-1817mskim@dgtp.or.kr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031-710-8702~8703miniro288@gbsa.or.kr, hatoma98@gbsa.or.kr   ※ 관련 세부사항은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     6) 혁신디바이스 ICT인증 연계지원 ○ (추진방법) 디지털 혁신 디바이스 및 서비스 개발 중소·스타트업을 선정하여 맞춤형 검·인증 컨설팅 및 현장 맞춤형 시험·인증 지원 ○ (지원 규모) 20개 기업 ○ (지원 범위) 디지털 혁신기술 검·인증 컨설팅 및 현장 맞춤형 시험인증 지원(시험 결과서 또는 인증서 제공) 구분서비스 분야제공 서비스비고국제 인증 5G 단말, 디바이스5G 국제 공인인증(PTCRB, GCF)서비스 분야별 지원 내용 및 혜택은 상담 필요Wi-Fi 인증IPv6 인증국가 인증ICT 융합 디바이스·
서비스 ICT융합품질인증e-IoT 상호운용성 인증소프트웨어품질인증검증 시험5G 단말, 디바이스 5G 오픈테스트랩 활용 상호운용성 검증5G mVoIP 품질검증ICT 융합 디바이스·
서비스 차세대 네트워크 장비 보안기능 확인 및 검증R&D과제 검증  - 검증 소요비용 및 시험 기간 · 소요비용 : 시험 비용 무료(인증비 별도) ※ 신청 기업과의 상담을 통해 TTA 직접 지원 또는 타기관 연계를 통한 비용지원 예정 (단, 5G 단말 국제 공인인증의 경우, 인증비용 일부 지원) · 시험 기간: 평균 15일 ~ 30일(단, 제품 및 서비스 규모에 따라 상이) ○ (모집기간) 2023.06.01.(목) ~ 2023.06.21.(수) 24:00 ○ (운영기관)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○ (문의처)  구분연락처이메일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010-5110-740jh.park@tta.or.kr010-5110-1562yeohoonyoon@tta.or.kr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031-710-8713thfk3230@gbsa.or.kr  ※ 관련 세부사항은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      Ⅲ   신청 및 문의처  ○ 신청 방법 : 지원 사업별 세부 공고문서를 참고하여 신청서 및 요청서류 등을 준비하여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(https://digitalopenlab.kr) ※ 홈페이지 회원 가입 후, “지원사업>프로그램”에서 각 사업 게시판에서 신청   ○ 문의처 : 지원사업별 담당자 문의 및 홈페이지 내 “지원사업>오픈콜”에서 문의      ※ 본 통합공고는 세부 사업별 공고 전 추진 계획을 미리 알고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으로 세부사업별 공고 및 접수 일정은 홈페이지 프로그램 메뉴 내의 세부사업별 공고를 반드시 확인※ 첨부된 세부사업별 공고는 일정 및 내용이 변경될 수 있음     

2023-05-02
공통 [2022년 통합공고] 디지털오픈랩 지원사업 통합공고(상반기)

     2022년 열린혁신 디지털오픈랩 지원사업 통합공고       『열린혁신 디지털오픈랩 구축사업』은 ICT신기술(5G·AI 등)과 디지털융합을 통해  D·N·A 혁신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개발 전주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ICT 융합혁신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지원사업을 통합공고 합니다.   2022년 4월 18일   열린혁신디지털오픈랩 사업운영기관(재)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· (재)대구테크노파크원장 ·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장 · 스마트기술진흥협회장    Ⅰ
지원사업 개요  ○ 목 적: 중소·스타트업이 ICT신기술(5G, AI)과 디지털융합을 통해 D·N·A 혁신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출시 할 수 있도록 개발 전주기 지원 ○ 대 상 : ICT관련 중소·스타트업 및 예비창업자 ○ 모집규모 : 총90개사 내외 ○ 개발 단계별 지원사업 안내 구분사업명모집시기지원기관아이디어공모전ICT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2022.05.04~스마트기술
진흥협회민간분야제작지원시제품제작ICT혁신 디바이스 서비스 지원(공급)2022.04.18.~(수요)2022.05~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D·N·A기술지원D·N·A 이어달리기 프로젝트2022.05(예정)공공분야 개발/실증지원개발 및 실증공공융합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지원2022.04.11.~대구테크노
파크인증지원ICT검·인증혁신디바이스 ICT인증 연계지원2022.04.18.~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    Ⅱ
지원사업 세부내용  1) ICT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 ○ (추진 방법) 5G·비대면 시대의 혁신 기술을 선도하기 위해 D·N·A와 관련된 우수아이디어 발굴, 혁신제품 상용화 지원을 위한「2022년 ICT 스마트 디바이스 전국 공모전」개최 ○ (지원 규모)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등 14점, 총상금 3,000만원 ○ (지원 범위) 현재 상용화되지 않은 DNA(Data, Network-5G, AI)와 관련된 아이디어 및 기술을 보유한 예비창업자(팀) 및 중소·스타트업 기업 - (일반부문) 공고일기준 사업자 등록이 되어있지 않은 예비창업자(학생, 일반인 모두 해당) - (기업부문) 중소 벤처 스타트업 등 소규모 기업 ○ (모집 기간) 2022.05.04.(수) ~ 2022.06.21.(화) 23:59 (예정) ○ (운영 기관) 스마트기술진흥협회(운영사무국) ○ (접수방법) 공모전 접수페이지 www.digitalopenlab.or.kr ○ (연락처) 02-6248-3502, 3503, kidia@kidia.or.kr ※ 관련 세부사항은 (모집기간내)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   2) ICT혁신 디바이스 서비스 지원 ○ (추진 방법) 전문기업과 수혜기업 선정을 통한 제품화 분야별 바우처 지원 ○ (지원 규모) 총25건, 건별 최대 5,000천원 지원 ○ (지원 범위) 디자인, PCB, 외형, SW제작 - (디지인) 디자인 기획(컨셉, 시각화, 스케치), 모델링(3D 모델링 & 렌더링), 디자인 시방서 등 제품 디자인 개발 지원 - (PCB 설계) 회로설계 및 제품, 회로 구조 최적화를 통한 PCB 제작 및 조립 등 지원 - (외형제작) 산업용 3D 프린터, CNC 가공 등을 통한 외형제작 등 - (SW제작) SW의 디바이스 도입을 위한 데이터 획득 및 가공 등 지원 ○ (모집 대상) - (제작전문기업) 디자인 · PCB · 외형제작이 가능한 분야별 (중소)제작전문기업 - (수혜기업) ICT 디바이스 시제품 제작 지원이 필요한 중소기업 ○ (모집 기간) - (제작전문기업) 2022.04.18.~ 05.13. - (수혜기업) 2022.05.23.~ 06.17.(예정) ○ (운영 기관)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○ (연락처) 031-710-8707, ksw128@gbsa.or.kr ※ 관련 세부사항은 (모집기간내)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   3) D·N·A이어달리기 프로젝트 ○ (추진 방법) 기 개발된 디바이스에 D·N·A[Data, Network(5G 중심), AI] 기술 도입을 통한 제품 및 서비스 고도화로 4차 산업시대 시장수요에 맞는 ‘혁신 디바이스’로의 제품 리모델링을 위한 기술개발 및 제품제작 지원 ○ (지원 규모) 10개사 내·외 ○ (지원 범위) - D·N·A 기술개발 지원 통한 혁신 디바이스 창출 지원 - 데이터 취득·가공·모델 생성을 통한 알고리즘 도입 및 통신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디바이스 제작 지원 등 [분야별 세부지원(예시)] 구 분지 원 내 용데이터 추출- 웹데이터 추출 및 CSV, API 변환 등데이터베이스 구축- 데이터 가공 및 분석 후 관리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데이터 취득- IoT, mobile 등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, 영상, 텍스트 획득데이터 가공- 데이터 라벨링, 분류, 포맷 변경, 변형 등모델 생성- 반복 학습을 통한 화면인식, 음성분석, 상황추론 등 알고리즘 생성결과 산출- 소스코드, 보고서 등 디바이스 적용을 위한 서비스 제공- 수요자 맞춤형 결과물 산출 및 제공시각화-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효과적 정보 제공 ​5G 상용화​​- 5G 기반 통신 기술을 활용한 디바이스 제작 지원​AI 기술개발-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즙 개발 및 향상연구 등   ○ (모집 기간) 5월(예정) ○ (운영 기관) (재)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○ (연락처) 031-710-8713, thfk3230@gbsa.or.kr ※ 관련 세부사항은 (모집기간내)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 4) 공공 융합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지원 ○ (추진 방법) 범부처·지자체·공공기관 등과 연계하여 ICT(D·N·A) 기술로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 혁신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 가능한 컨소시엄 선정을 통한 개발 및 실증 비용지원 ○ (지원 규모) 7개 과제(개발 및 실증 3건, 실증 4건), 건별 최대 1억원 지원 ○ (지원 범위) ICT(D·N·A) 기술 기반의 혁신 디바이스 개발 및 실증 - (개발 및 실증) 혁신 디바이스 개발에 소요되는 재료, 시작품/시제품 제작 비용 및 실증환경 구축 및 운영 비용 등 - (실증) 실증환경 구축 및 운영 비용 등 ○ (모집 기간) 2022.04.11. ~ 2022.05.09. ○ (운영 기관) 대구테크노파크 ○ (연락처) 053-602-1855, iyh@ttp.org ※ 관련 세부사항은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   5) 혁신디바이스 ICT인증 연계지원 ○ (추진 방법) 수혜기업 선정을 통한 검증·인증 컨설팅 및 현장 맞춤형 시험·인증 지원 ○ (지원 규모) 총 35개 기업 ○ (지원 범위) - ICT분야 검증·인증 컨설팅 및 현장 맞춤형 시험·인증 지원(시험 결과서 또는 인증서 제공) 구분서비스 분야제공 서비스비고국제 인증 5G 단말, 디바이스5G 국제 공인인증(PTCRB, GCF)서비스 분야별 지원 내용 및 혜택은 상담 필요Wi-Fi 인증IPv6 인증국가 인증ICT 융합 디바이스·
서비스 ICT융합품질인증IoT 상호운용성 인증소프트웨어품질인증검증 시험5G 단말, 디바이스 5G 오픈테스트랩 활용 상호운용성 검증5G mVoIP 품질검증ICT 융합 디바이스·
서비스 차세대 네트워크 장비 보안기능 확인 및 검증R&D과제 검증  - 검증 소요 비용 및 시험 기간 o 소요 비용: 시험 비용 무료(인증비 별도)  ※ 신청 기업과의 상담을 통해 TTA 직접 지원 또는 타기관 연계를 통한 비용 지원 예정 (단, 5G 단말 국제 공인인증의 경우, 인증비용 일부 지원) o 시험 기간: 평균 15일 ~ 30일(단, 제품 및 서비스 규모에 따라 상이) ○ (모집 기간) 2022.04.18. ~ 2022.05.09. ○ (운영 기관) TTA (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) ○ (연락처) jongwon@tta.or.kr / smahn226@tta.or.kr ※ 관련 세부사항은 지원사업 세부 공고문 참조    Ⅲ
신청 및 문의처  ○ 신청 방법 : 지원 사업별 세부 공고문서를 참고하여 신청서 및 요청서류 등을 준비하여 온라인신청(https://digitalopenlab.kr) ※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, “지원사업>프로그램”에서 각 사업 게시판에서 신청   ○ 문의처 : 지원사업별 담당자 문의 및 홈페이지내 “지원사업>오픈콜”에서 문의 

2022-04-18